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36건)

소해정蘇海亭 경의재景義齋
북구 소해로 11 (일곡동)   *경의재 소해정은 소해蘇海 노종용盧種龍(1856~1940)이 1930년에 세웠으며 그의 아호에 따라 이름을 지은 정자다. 노종용은 대촌동 양촌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원풍정願豊亭 건립자인 농암 노재규의 아들이다. 노종용은 연재 송병선, 심석재 송병순, 면암 최익현, 송사 기우만 등 한말 우국
성성정惺惺亭
  광산구 등임동 방혜마을에 영광 홍농 출신의 산곡 山谷 최기모 崔基模가 지냈고 기문이 있다. 최기모(崔基模, 1869-1925)의 자는 진우(進愚)이며 호는 산곡(山谷)이다. 최익현의 문인이다. 《산곡유고(山谷遺稿)》가 있다.최기모는 산곡유고 권1에 '광주를 지나며(過光山府)'라는 시가 있고 쌍석정에 올
율수재(聿修齋)
율수재는 면암 최익현이 제주도와 흑산도 유배시 지성으로 보살핀 제자 율수재 박해량(朴海量, 1850~1886)과 그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로 활약한 박현동(朴玄東, 1886~1962)의 강학 공간이었다. 최익현이 써준 <율수재기>가 남아 있다. 亡友道謙 朴海量 遺居 澹對舊遊少一人 圖書遺宅見心眞 堪憐剩得栽培力 竹子梧
박현동(朴玄東)
박현동(朴玄東, 1886~1962)은 광산구 장수길 33(독립운동 당시 주소 全南 光州郡 瓦谷面 相村)번지의 강학공간인 율수재(聿修齋) 뒤에 있는 살림채에서 율수재 박해량(朴海量, 1850~1886)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06년 4월 부친의 스승인 최익현(崔益鉉)이 의병을 일으키자 적극 참여했으며, 그 이후에도 의병으로 활동하
신덕균(申德均)
지리산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을 펼친 신덕균(1878∼1908)은 광주 우산동(또는 각화동 277) 출신이다. 초명(初名)은 덕순(德淳), 자는 정효(正孝), 호는 몽암(夢菴), 본관은 평산으로 신태수(申泰洙)의 아들이다.일찍이 기우만(奇宇萬)과 전우(田愚)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학문에 뛰어났다.광주북구지(1994)에는 우산동 출신으로
박해량(朴海量)
박해량(1850~1886)의 본관은 순천, 자는 도겸(道謙), 호는 율수(聿修)이다. 광산구 하남동(장수리)이 거주지이다. 박해량의 호는 율수재聿修齋로 고산 임헌회, 중암 김평묵, 면암 최익현, 노사 기정진 등에게서 학문을 터득했으나 36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업적을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탐라耽羅, 흑산黑山 등지에 유배
대산사 / 大山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대야마을, 송정리에서 영광쪽으로 10여 km를 가다가 삼도 삼거리에서 나주쪽으로 2km 남짓 가면 오른편으로 대산동 대야마을이 나온다.이 마을 후록(後麓)에 대산사(大山祠)가 있다.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과  수당睡堂 류인석(柳寅奭)을 배향하고 있는 사우1727년(영조 3) 창건연혁
원풍정(願豊亭) 소해정(蘇海亭) 만주사당(晩洲祠堂) 경의재(景義齋 )
북구 소해로 11 (일곡동)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은 조선 시대 광주목 석제면에 속했고, 호구총수에 일곡촌(一谷村)이 기록되어 있어 지명의 유래가 오래되었음을 보여 준다. 그래서 전통적 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일신재나 그중에 구한말 일대의 선비들이 구국의 일념으로 머물렀던 유서 갚은 곳이다. 원풍정(願豊亭)
노종룡(盧鍾龍)
노종룡(1856~1940)의 본관은 광산이고 자는 치운(致雲), 호는 소해(蘇海),농아(聾啞)이다. 당시 본촌면 일곡리에서 살았는데 오늘날 북구 일곡동이다. 최익현의 문인이다.부 : 盧在奎조 : 盧鎭權증조 : 盧弼元외조 : 鄭錫源처부1 : 金箕彩 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掌位로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220냥을
최익현-외성당기
광주목(光州牧) 안청리(安淸里)의 조촐한 초가에 ‘외성당(畏省堂)’이라고 편액(扁額)한 집이 있다. 이는 옛날 안촌(安村) 박공(朴公, 이름은 광후(光後))이 평소에 거처하던 옛집으로, 우암(尤菴) 송 선생(宋先生)이 친필로 쓴 것이다. 그때부터 지금까지는 수백 년이 지났건만, 동우(棟宇)가 탈이 없고 당의 편액도 완연하
최기룡(崔基龍, 1843∼1913)
죽파(竹坡) 최기룡(崔基龍 1843~1913)의 자는 찬서(贊瑞).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환(崔有煥)의 아들로 광주 지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선천적으로 성실하고 친절하며 인정이 두텁고 의지와 취향이 훌륭하였다. 8세에 글을 쉽게 배우고 일취월장하여 주자(朱子)의 글을 한 번 읽으면
서헌거사안공의적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1967년이 서헌거사안공의적비(瑞軒居士安公義蹟碑)는 서헌거사라 불린 안규용(安圭容, 1860-1910)의 의적비이다. 죽산안씨 21세인 그의 자(字)는 공삼(公三)이고, 봉곡(鳳谷, 저불마을 또는 봉곡마을이라 불리웠던 광주시 북구 오치동의 옛이름)은 그가 세거했던 지명이다.1931년 간
금호최공원택실적비
광주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 (무양서원)1934년금호최공원택실적비(錦湖崔公元澤實績碑)는 무양서원 앞에 있다. 최원택(崔元澤)의 자는 도경(道京), 호는 금호(錦湖), 본은 탐진이며 벼슬은 참봉, 1862년(임술)생이다.이 비는 1934년(단기 4267년) 2월에 전 가의대부이조참판겸동지 경연의금부춘추관성균관사 규장각
금호정사
서구 금호동 광주읍 명치정明治町의 최원택崔元澤이 지냈던 곳이 금호동의 금호정사錦湖精舍이다. 명치정은 지금의 금남로 일대이다. 최원택의 자는 도경道京, 호는 금호錦湖, 본은 탐진이며 벼슬은 참봉이다. 당시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1833~1906) 유인석柳麟錫은 항일투쟁을 위해 순천 낙안 흥양 여수 돌산 광양 장흥 보
농은정2
서구 주월동농은정農隱亭은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10리에 있다.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제자인 참판 농은農隱 이돈식李敦植(1847~1920)이 세웠고 춘담 기동준(1860~1918)의 기문과 현와 고광선(1855~1934)의 명문이 있다. 옛 광주은행 화정동지점과 보성보寶城堡 인근 주월동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
만취정2 晩翠亭- 김용희
서구 매월동 (동산부락)만취정(晩翠亭)은 1925년에 김용희(金容希, 1860.5.27~1927.7.21)가 매월동 화개산 기슭에 처소로 지었다. 김용희의 호는 송암(松菴) 또는 만취정이다. 유고가 2권 있다고 족보에 기록되어 있으나 전해지지 않는다. 현와 고광선이 행장을 썼다. 삽봉 김세근 장군의 후손이다.만취정은 『광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